본문 바로가기

IT

Glide 앱으로 나만의 모바일 웹앱 만들기 – 구글 시트로 앱을?

반응형

by Brandy

디지털 시대, 누구나 자신만의 앱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. 특히 개발 언어를 몰라도 앱을 만들 수 있는 노코드 툴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, 오늘은 그중에서도 Glide라는 도구를 통해 구글 시트 기반의 모바일 웹앱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


1. Glide란 무엇인가요?

Glide는 구글 시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바일 앱 또는 웹앱을 만들 수 있는 노코드 플랫폼입니다. 복잡한 프로그래밍 없이도 시각적인 구성과 직관적인 UI 설정이 가능해 초보자도 실습 중심으로 빠르게 앱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.

  • 📊 구글 시트 연동: 데이터를 자동으로 불러오고 앱 UI에 적용
  • 🎨 디자인 커스터마이징: 드래그 앤 드롭만으로 화면 구성
  • 🌐 앱 배포도 손쉽게: 별도 앱 스토어 등록 없이 바로 URL로 공유 가능

2. Glide 앱 만들기 실습 과정

Step 1. 구글 시트 준비

앱의 데이터를 담을 구글 시트를 만들어야 합니다. 예를 들어 식당 예약 앱이라면 이름, 시간, 인원, 연락처 등의 컬럼이 필요하겠죠. 각 열이 앱에서의 입력 필드가 됩니다.

Step 2. Glide 접속 및 앱 생성

  • Glide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
  • ‘New Project’ → ‘Google Sheets’ 선택
  •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후 사용할 스프레드시트를 연동

자동으로 앱이 만들어지며, 데이터 컬럼에 따라 카드, 리스트, 테이블 형식의 UI가 생성됩니다.

Step 3. UI 커스터마이징

왼쪽 사이드바에서 화면별로 레이아웃, 액션, 버튼 등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:

  • 버튼 클릭 시 특정 페이지 이동
  • 폼 형식으로 입력받기
  • ‘예약 완료’ 같은 알림 액션 설정 가능

Step 4. 앱 배포하기

앱이 완성되면 상단의 ‘Share’ 버튼을 클릭해 링크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해당 링크를 복사해서 공유하면, 누구나 모바일에서 웹앱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
3. Glide의 장점과 주의할 점

✅ 장점

  • 코딩이 전혀 필요 없음
  • 구글 시트만 알면 앱 만들기 가능
  • 다양한 템플릿 제공
  • 빠른 속도와 직관적인 UX

⚠️ 주의할 점

  • 무료 요금제는 기능 제한이 있음 (예: 데이터 용량, 사용자 수)
  • 데이터가 구글 시트에 실시간 저장되므로 보안 관리 필요
  • 앱 형태는 기본적으로 웹앱이므로 네이티브 앱처럼 오프라인 기능은 부족

4.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!

  • ✔️ 동아리 출석부 앱, 간단한 설문 앱을 만들고 싶은 학생
  • ✔️ 구글 시트 기반 관리 시스템을 시각화하고 싶은 초보 창업자
  • ✔️ 클라이언트에게 모바일로 보여줄 서비스를 빠르게 제작하려는 프리랜서

Glide는 기획력과 데이터를 잘 정리하는 능력만 있다면 누구나 앱을 만들 수 있는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. 복잡한 개발을 몰라도 서비스형 앱을 만드는 시대, 이제 시작해보세요!


 

반응형